[CASE STUDY-스마트시티] 스마트 GIS 인천② 안전한 도시

블로그 0 Comments

지구상에서 인간의 목숨을 가장 많이 빼앗는 동물은 무엇일까요? 무시무시한 이빨을 가진 상어나 맹수인 사자, 호랑이, 악어 등을 떠올리기 쉽지만 이런 맹수들을 뛰어넘은 살인범은 따로 있습니다. 몸무게 2mg 남짓의 작고 가녀린 몸매에 바늘처럼 뾰족한 주둥이를 가진 곤충, 바로 ‘모기’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모기는 매년 72만500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가 사람을 가장 많이 해치는 동물 1위에 올랐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자연파괴 및 개발로 인해 말라리아, 일본뇌염, 지카바이러스, 뎅기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여행 및 국제교류의 증가로 인해 모기매개 감염병이 확산되고 있어 모기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GIS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를 만들어가고 있는 인천광역시는 시민들이 질병으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감염병의 주요 매개체인 모기방제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기발생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데 GIS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과학적인 모기 방제계획을 수립하고, 방제현장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GIS 인천 ‘모기발생 정보시스템’ 페이지 (바로가기 링크)

목적
우리나라의 관문도시인 인천에는 국내 최대규모의 국제공항(인천공항)과 국제항구(인천항), 항만이 위치해 있으며 북한 접경지역과도 인접해 있어 해외유입 감염병의 주요 매개체인 모기의 상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인천시의 모기 관리는 시민들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국내의 모기매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 과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에 인천시는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모기 방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행정력(방제예산 및 방제인력 등)을 모기발생 취약지역에 집중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도 높은 모기 취약지역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했고, 인천시는 자동화장비를 이용해 모기 개체 정보를 GIS 플랫폼에 디지털 정보로 축적하여 현황 및 트렌드를 조사하고, 지역별 모기발생 정보를 지리정보와 연계해 분석함으로써 취약지역을 선정했습니다.

관련 제품

  • WebApp Builder
    별도의 프로그래밍 없이도 데스크톱, 태블릿,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툴
  • Story Maps
    일반지도와 달리 텍스트, 동영상, 사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지도에 결합해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웹 애플리케이션
  • Survey123 for ArcGIS
    간단하고 직관적인 설문조사 양식으로 질문을 구성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든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앱을 통해 현장 인력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솔루션

  • ArcGIS Data Interoperability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GIS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환시켜 매핑, 시각화, 분석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익스텐션

구축 내용
인천시는 모기 채집을 위한 기존의 표준방법인 유문등(black light)법 [1] 대신, IoT 기술에 기반한 자동모기계측기(DMS; 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를 설치하여 인천 전역의 모기발생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1] 모기발생 지역에 유문등(모기 유인등)을 설치해 모기를 유인하여 잡는 방법

▲ DMS 시스템 구성도

▲ 모기관리 및 방제 R&R

2016년 시 전역에 자동모기계측기 10대(인천시 군/구별 1지점)를 설치하고 모기발생 정보시스템을 오픈했습니다. 이듬해 시스템이 ‘스마트GIS인천’에 연계되면서 자동모기계측기 설치를 110지점으로 확대했고, 현재는 스마트GIS인천의 주요 앱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군/구별 자동모기계측기 설치 위치(시민용). 노란 점을 클릭하면 위치 주소, 모기관측시간 및 모기 수 등 각 계측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모기계측기는 장비 내 설치된 센서를 통해 모기 개체 수를 일 단위로 자동 계수한 뒤, 개체수 데이터로 전환해 ‘스마트GIS인천’ 서버에 전송하여 디지털 정보로 축적합니다. 그리고 스마트GIS인천에 적재된 정보는 ETL도구[2]와 ArcGIS Enterprise의 서비스를 통해 최근 5일간의 변화량 분석, 데이터 미 채집 여부, 센서 정상작동 여부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관리 주체인 인천보건환경연구원과 각 군/구 보건소 담당자에게 실시간·자동으로 MMS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합니다.

해당 정보들은 Web app Builder로 대시보드를 구성해 스토리맵 형태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 때 사용자 권한에 따라 스토리맵을 분류하여 조회, 분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분합니다.

[2] ETL: 추출(Extract), 변환(Transform), 적재(Load)

▲ 모기발생 정보 대시보드(관리자용)

결과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시민들과 모기발생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모기매개감염병 부문)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한 모기발생 정보 생산의 혁신으로 방제 현장에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으며, 모기발생 취약지역의 합리적 선정으로 예산과 인력을 집중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통상적인 모기 감시를 넘어 인천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모기발생 정보(해외유입 모기 감시, 말라리아 모기 감시)를 파악해 시의 보건 관련 기관에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향후 인천시는 스마트GIS인천에서 제공하는 현장조사도구인 ‘Survey123’을 이용해 각 기기의 유지보수 관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기상청 등과의 협업으로 확보하게 될 기상예측정보(온도, 습도 등)를 스마트GIS인천에 축적된 모기 개체 수집 경향분석 정보와 결합 및 분석해 우선적으로 방제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을 선정해 행정력을 집중함으로써 보다 선제적인 감염병 예방활동을 펼쳐나갈 계획입니다.

 


댓글 남기기